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TCP/IP2

[네트워크] TCP/IP 4계층 이란? 계층별 특징 TCP/IP 4계층의 구조 TCP/IP 4계층의 구조는 네트워크 엑세스 계층(Network Access Layer), 인터넷 계층(Internet Layer),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계층의 역할에 대한 설명에 앞서, 같은 데이터라고 하더라도 계층별로 부르는 명칭이 달라진다. 이는 TCP/IP의 각 계층을 거치면서 데이터에 여러 프로토콜의 헤더가 추가됨에 따라 명칭을 달리했기 때문이다.데이터의 전송 과정에서 1계층에서 4계층까지 순서대로 프레임(Frame), 패킷(Packet) 혹은 데이터그램(Datagram), 세그먼트(Segment), 데이터(Data) 혹은 메세지(Message)로 데이터를 구분하여 표현한다. 웹.. 2024. 4. 28.
[네트워크] OSI 7계층 (네트워크 7계층) 이란? 계층별 특징 작동 원리OSI 7계층은 응용, 표현, 세션, 전송, 네트워크, 데이터링크, 물리계층으로 나뉜다.전송 시 7계층에서 1계층으로 각각의 층마다 인식할 수 있어야 하는 헤더를 붙인다. (캡슐화)수신 시 1계층에서 7계층으로 헤더를 떼어낸다. (디캡슐화)출발지에서 데이터가 전송될 때 헤더가 추가되는데 2계층에서만 오류제어를 위해 꼬리부분에 추가된다.물리계층에서 1, 0 의 신호가 되어 전송매체 (동축케이블, 광섬유 등)을 통해 전송한다. 물리 계층(Physical Layer)물리 계층은 7계층 중 최하위 계층에 속하며, 주로 전기적, 기계적, 기능적인 특성을 이용해 데이터를 전송한다.데이터는 0과 1의 비트열, 즉 On, Off의 전기적 신호 상태로 이루어져 해당 계층은 단지 데이터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상.. 2024. 4. 26.
반응형